본문 바로가기

자기경영/감정관리

[제 15강] ② 감정을 관리하는 방법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해석하느냐 그리고 그것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었느냐에 따라서 정서나 감정은 전혀 다른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에서는 생각과 감정의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는데 사람이 외적 사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해석하는가에 의해 바람직하고 생산적인 감정의 상태를 경험할 수 있지만 그와 정반대인 경우도 있다.

 

외적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으로 나누어진다. 합리적 신념이란 어떤 상황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객관적이며 타당한 근거 있는 신념을 말하며 비합리적 신념이란 주관적이며 근거가 없는 그래서 왜곡되기까지 하게 되는 신념을 말한다.

 

우리는 특정한 상황에 대하여 합리적인 신념과 생각으로 해석하고 받아들이면 바람직한 정서, 생산적 감정을 경험 하지만 비합리적 신념으로 이해하면 비생산적 감정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 늦게 오는 식구를 기다리는 나머지 가족들이 그럴만한 사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곧 오겠지라는 단순한 마음을 가질 수 있지만 사고가 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불안과 걱정, 긴장과 같은 심정 때문에 초조해 질 것이다. 동일한 상황에서 두 가지 서로 다른 생각 때문에 초래되는 결과는 상반되는 감정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어나는 사건이나 상황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 일어날 수밖에 없는 사건과 상황이라면 그 사건으로 인하여 걱정과 불안과 같은 비생산적인 감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을 바꿔야 하며 이것이 효율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래의 비합리적 생각들은 결과적으로 비생산적인 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1) 완벽주의

      : 자기 주변의 모든 상황과 상태가 반드시 완전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조금이라도 차질이 있으면 받아들이지 못한다.

2) 인정

      : 모든 사람들로부터 반드시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3) 당위성

      : 모든 일은 반드시 우리가 알고 있는 형식과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4) 과잉일반화

      : 소수의 증거와 경험이 모든 것을 대변하는 것처럼 생각하여 이를 전체로 확대하여 일반화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

5) 무력감

      : 스스로 해결하거나 실천할 수 있는 일이지만 절대로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

6) 부정적 예언

      : 자신이 하는 일은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렇게 믿는다

 

이러한 비생산적인 감정은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정은 저절로 조절되지 않는다. 의식적인 노력으로 부정적 감정을 최소화 하고자 할 때 부정적 감정은 통제될 수 있다.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잘 살피고 인정한다.

둘째, 그런 정서적 반응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연관된 선행 사건이 있는지 생각한다.

셋째, 자신은 그 선행사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해석해 왔는지 분석한다.

넷째, 비합리적 생각이 발견되면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것을 버리고 합리적 생각으로 바꾼다.

 

비합리적인 생각이나 신념을 합리적으로 바꾸는 것 이외의 가정이나 학교에서 정서적으로 자신을 지지해주는 조직을 형성해서 감정을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 만약 가정이나 학교에서 정서적지지 기반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면,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 동아리나 친목모임 등에 참여해 보기를 추천한다. 활동을 하다 보면 서로 어려운 일도 돕고, 칭찬과 격려도 주고 받으며 좋은 일이 생기면 서로 축하해 주므로 정신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도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가정이나 조직도 해체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서로를 도와주고 이해하며 협조하는 정서적 공동체를 조직하여 활동하는 것은 정신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정서적 지지는 나의 개성을 인정해 주고 나의 좋은 면을 칭찬하고 격려해주려는 선의의 사람들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인정받고 싶어 한다. , 꾸밈없이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평가 받고 싶어 한다. 정리하자면 진실한 의미의 정서적 지지는 나 자신이 아닌 나를 잘 알고 있으며 나를 진정으로 사랑해 주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NEXT  [제 16강] 지적능력관리

>>>>>>>>>>>>>>>>>>>>>>>>>>>>>>>>>>>>>>>>>>>>>>>>>>>>>>>>>>>>>>>>>>>>>>>>>>>>

※ [On-line 라이브강의] 비전만들기 프로젝트 안내

 

 

 

[그림을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반응형

'자기경영 > 감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4강] 감정관리 ① - 감정관리의 이해  (0) 2020.02.08